정들돌 개인전《웅얼벽화합창》

 

 

 

2025 처음의 개인전 공모 선정작

정들돌 개인전《웅얼벽화합창》

2025. 7. 25 – 8. 10
오후 1시 – 7시 (월, 화 휴무)
레인보우큐브 (마포구 토정로2길 6-19)

작가 | 정들돌
서문 | 배혜정
진행 | 김성근
주최 | 레인보우큐브
디자인 | 김경수
사진 | 박도현
도움 | 김상소 정상운 하지민 황예지

오프닝 | 7월 25일 오후 5시

 

 

허접하고 자그마한 이 종이벽들은 내게 작동하는 온갖 힘을 닮은 채 발치에 치이며 나를 막고 또 나를 인도한다.
다양한 종이와 핸드메이드 한지, 석고 등을 층층이 쌓아 종이벽을 만든다.

그 위에 회색조의 파편적 형상, 외국어, 시와 같이 불완전한 번역을 요구하는 부서진 언어를 겹겹이 얹어 조각적 평면의 벽화를 그린다.
그림은 중심 없는 확장된 풍경이 되어 불협화음의 다성적 앙상블을 이룬다.

벽은 세계의 힘이자 나 스스로를 향해 지어 올린 자화상이다.
‘벽을 세우고 세워도 벽은 벽이 되지 않고 나는 벽이 되지 않‘*는다. 나의 벽은 부단히 최선으로 어긋나며 어쭙잖은 매일의 오해를 닮았다.

시적 내러티브의 산재한 파편의 몸들은 지시적인 하나의 언어가 되기 실패한다.
이들은 서투른 진심의 겹을 이루는 상상적 언어로 말을 건다.

이 필패하는 번역 앞에서 우리는 묵음을 남기는 마음을 익힌다.
확고함 앞에서, 휘어져 겨루는 방법을 알게 된다.
덧없는 웃음의 포즈, 정서적 태도로서 위악을 취해 힘을 흉내내고 비튼다.

거리나 공간에 속하며 무수한 개인, 공공적 축적의 층위를 이루는 벽화로서,
생명의 흔들리는 매일과 그 속에서 웅얼대는 목소리들이 합창으로 이어지는 순간을 기록한다.

이러한 합창은 존재의 아이러니한 복합성을 관용하는 바보들의 선율이다.
염탐하듯 남몰래 기어걷는 불구의 괴물들을 향해, 애상적 찬가를 함께 부른다.

_작가노트 중

*이수명, 「불가능한 벽」, 언제나 너무 많은 비들, 문학과지성사, 2011

 

 

 

Related Images: